오늘은 주택청약 및 임대아파트 소득의 기준이 되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금액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금액은 앞서 말씀드린 주택청약과 임대아파트 입주자 선정시 소득의 기준이 되며, 각종 세금 및 자금 차입시 상환 능력을 보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기타 다양한 경제적인 부분에서 기준점으로 사용이 되는데요.
알아두신다면 여러가지 유용한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 결혼의 시기도 늦어지고 있고, 결혼을 해도 아이를 낳지 않고, 부부끼리만 거주하는 딩크족도 많은데요.
그래서 주거와 관련해여 소득 기준점이 되는 이 정보가 조금 유익하실 겁니다.
올해인 2024년 기준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올해는 지난해 소득을 기준으로 하며, 월 소득에 따른 연봉도 함께 계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족구성원 수 | 월평균소득 | 연봉 |
1인 | 3,482,964 | 41,795,568 |
2인 | 5,415,712 | 64,988,544 |
3인 | 7,198,649 | 86,383,788 |
4인 | 8,248,467 | 98,981,604 |
5인 | 8,775,071 | 105,300,852 |
6인 | 9,563,282 | 114,759,384 |
7인 | 10,351,493 | 124,217,916 |
위 금액은 세전 금액이며, 매달 받는 월급 뿐만 아니라 모든 총소득이기 때문에 연말 또는 분기나 반기에 받는 보너스 금액도 모두 포함이 됩니다.
그리고 임대아파트의 경우 민간 및 공공 , 또는 영구임대가 있는데 민간에서 공급하는 임대아파트의 경우 소득은 입주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공공 및 영구 임대의 경우에만 대부분 소득 기준을 정하는데 위에 있는 금액을 100%로 하시고, 통상 50~70% 내외이기 때문에 잘 계산해 보시길 바랍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금액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실거주를 희망하지만 당장 내집마련이 고민되신다면 임대아파트가 바로 정답입니다. 리스크는 줄이고, 주거는 일정기간 보장되고, 이보다 좋은…